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자급을 다시 생각한다


언젠가 아이들과 함께 식량자급률에 대한 이야기를 나눈 적이 있다. 우리나라의 형편없는 자급률과 소위 선진국이라고 하는 영국, 프랑스, 미국 등의 자급률을 알려줬을 때 아이들은 왜 선진국의 식량자급률이 그렇게 높은가? 에 대해 고개를 갸우뚱했다. 이 책은 지금 시점에 세계의 식량위기 , 무역의 논리, 자급의 논리 , 탈석유시대의 식량 자급 , 사회의 기초로서의 농업 , 원리주의로서의 자급 , 자급하는 가족 농가 마을, 라이프스타일로서의 자급, 식생활의 변화를 통한 자급, 순환의 재생과 신뢰의 회복 등의 주제로 여러 사람의 의견이 제시되어 있다. 현대 무역의 원형이 된 대서양 무역과 이슬람 무역의 비교, 생활양식의 끊임없는 창조적 파괴가 그 원리가 된 세계무역, 세계무역의 충격으로 탄생한 근대 개인주의, 미국 중심의 세계무역체제의 완성 등에 관한 내용은 세계화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탈 석유시대의 식량자급을 생각한다>에서 1930년대 파푸아뉴기니의 고지에서 석기시대 상태로 살아가던 시아네 족에게 철제 도끼를 전해준 뒤의 이야기는 신선하다 못해 지금으로서는 이상한 나라의 이야기로 다가왔다. 시에네족은 철제도끼로 작업 속도가 3배나 빨라져서 더 많은 일을 할 수 있었는데도 그렇게 하지 않닸다. 그들은 철제도끼 전과 같은 상태로 살면서 필요 이상의 식량을 생산하지 않았다. 그들은 노동시간이 줄어든 만큼 남는 시간은 여가 활동을 즐겼다. 매일이 일요일이었던 수렵채취 원시 농경 민족은 하루에 1~5시간 노동하고 남는 시간은 동료들과 수다, 아이들에게 옛이야기 들려주기, 낮잠, 춤, 노래부르기로 시간을 보냈다. 현재의 삶을 지탱하기 위해서는 옛날과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의 노동시간이 필요하지만 과연 제대로 산다는 것이 미래를 위해서인가, 아니면 현재를 즐기기 위해서인가에 대해 생각해보게 되었다. <자급은 원리주의로 있기를 바란다>에서는 자급이라면 먼저 떠올리게 되는 식량만이 아니라 자연의 자급, 정감의 자급, 일의 자급, 삶의 자급, 먹을거리의 자급에 대해 이야기한다. 먹을거리 뿐만이 아닌 일상생활 전반에서 자급이 무엇인가를 생각하게 되었다. 언젠가 어느 선생님께서 말씀하셨다. "요즘 아이들이 왜 저렇게 됐는지 아니껴! 다 농사를 안 지어봐서 그런니더. 농사는 시작과 끝이 있어 시작을 잘못하면 한 해 농사가 망하니더. 심어서 거둬들일 때까지 어느 한 순간이라도 때를 놓치면 안되니더. 요즘 아이들은 처음부터 끝까지 해보는 일이 없니더." 아이들이 시작은 있어도 끝이 없는 공부에 매달리게 되니 자기 삶의 주체가 되지 못하고, 자립하지 못하고 갈팡질팡하게 되었다는 이야기다. 자급이라는 것은 내 삶의 처음과 끝, 내 하루의 처음과 끝을 혼자서든, 여럿이 함께이든 처음부터 끝까지 해내는 일이다. 인생이란 그러한 것이다. 작지만 그런 무수한 충일함과 감정의 집적이 받쳐주는 힘으로 우리는 살고 있다. 소득이나 명예, 자부심 같은 것은 나날의 그러한 실감 위에 구축된 방편 에 불과하다. 일에 몰두할 때는 모든 것을 잊는다. 현재의 자급률 논의는 상품과 돈의 숫자에만 마음을 빼앗겨, 음식을 지탱하고 있는 인간을 바라보는 시점이 결여되어 있다. 농사는 생명 을 기르고, 음식은 생명 을 받는 것이다. 그것이 생활의 기본이고, 안심 안전의 원점이다. 그래서 잘 먹겠습니다 , 맛있습니다 , 고맙습니다 , 건강합니다 하는 말들이 일상의 대화 속에 자연스레 오간다. 효율과 비용절감을 통해서만 식품을 생산하고, 나아가 세계 규모로 공급하는 것은 결국 생명 을 기르고 생명 을 받는 감사의 마음을 앗아간다. 자급을 다시 생각한다
곡물가격 앙등 등 오늘날의 세계적인 에너지·금융·식량 대란의 시대를 맞아 39퍼센트(2006년 기준)라는 일본의 식량자급률에 몹시 위기감을 느끼며 긴급히 내어놓는‘자급’에 대한 총체적 성찰이다. 식량자급률 26퍼센트(2007년 기준), 쌀을 제외한 곡물자급률은 5퍼센트에도 미치지 못하는 우리사회에도 과연‘자급’의 가능성이 있는 것일까.

책은 그동안 농업정책이나 통계에서 무시되고 제외되었던 소농(가족농) 및 작은 마을들이 참신한 발상과 스스로의 힘으로 자급 제고에 훌륭하게 기여하고 있는 활약상을 살펴본다. 그리고 돈을 벌고자 하는 생각에서 벗어나 자신과 이웃의 필요를 스스로의 힘으로 조달하는 창조적 생산의 삶이 가져온 풍요로움과 즐거움을 엿본다.

책은 자급의 정신 에 대해 설파한다.‘자급의 정신’은‘선택’을 거부하고, 책임지고 떠맡겠다는 자세에서 성립한다. 다시 말해서‘자급’은 근대화에 대한 대항개념, 원리주의로서 파악해야 하는 것이다. 농업의 근대화, 식품생산에서의 효율과 비용절감 추구가 가져온 것은 안심하고 먹을 수 없는 먹을거리뿐만이 아니다. 그것은 지구상의 사람들의 생활과 마음가짐에 이르는, 삶의 전국면을 바꾸어놓았다. ‘자급’의 기본이 국가의 논리(내셔널리즘), 세계경제 혹은 다국적기업의 지배에서 벗어나는 데 있다고 하면, ‘자급’의 의미는, 각 지역의 풍토에 바탕을 두고 자력으로 생활을 꾸려나가는 생활, 그리고 인간이 서로서로 지탱하는 것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그리고 그 구체적 실천은 오늘날 곳곳에서 펼쳐지고 있는 풀뿌리의 자발적 지산지소(地産地消)의 움직임이다.


머리말 - 왜 지금 ‘자급’이 문제인가 - 다구치 히로시
세계의 ‘식량위기’ - 니시카와 준
무역의 논리, 자급의 논리 - 세키 히로노
탈(脫)석유시대의 식량자급을 생각한다 - 요시다 타로
농업을 사회의 기초로 되돌리고 싶다 - 나카지마 기이치
‘자급’은 원리주의로 있기를 바란다 - 우네 유타카
자급하는 가족·농가·마을은 묻는다 - 유키 도미오
‘자창자급’하는 산촌에서 - 구리타 가즈노리
라이프스타일로서의 자급 - 시오미 나오키
식생활이 바뀌면 자급도 바뀐다 - 야마모토 가즈코
‘순환’의 재생과 ‘신뢰’의 회복 - 고이즈미 고로

 

21세기 소년 (상)

음.. 우라사와 나오키 작가님의 작품 스타일을 대충 알거같아요..재밌는데 결말이 항상 제 스타일이 아닌..몬스터도 그렇고 20세기소년도 그렇고 결말부분에서는 좀 호불호가 갈릴 거 같아요.20세기소년 사서 읽은지 기간이 좀 지나서 대충 빠르게 읽은 21세기소년 상권,,다음권이 정말 마지막 권이네요.ㅠㅠ 개인적으로 20세기소년은 초반,중반까지는 정말 재밌고 흥미로웠는데20세기 소년 1~22/URASAWA Naoki「몬스터」「플루토」의 우라사와 나오키 최대

hecds.tistory.com

 

삼총사 3

■희대의 악녀 밀레디 알렉상드르 뒤마는 19세기 프랑스 문단의 대표적인 카사노바였다. 그래서 그런지 소설에 나타난 여성에 대한 묘사가 특히 예리하다. 희대의 악녀 밀레디를 묘사하고 설명하는 대목은 고급사교계에서 뒤마가 만났던 여성 사이코패스에 대한 관찰에 기반하지 않았나 싶을 정도로 그 묘사의 깊이가 폐부를 찌른다. 밀레디는 아토스의 전부인이자 리슐리외 추기경의 밀정이다. 리슐리외 추기경조차 밀레디의 진짜 신분에 대해 모르고 있다. 소설의 후반부는 밀레

lksdt.tistory.com